Ongoing Projects

  • 프로젝트 명

    모바일 자원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패턴 분석 및 스마트홈 IoT 외부 침입 차단 시스템
  • 분야

    미흡한 기존 IoT 디바이스의 보안 취약점 대응 방안
    • -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년 2월에 IoT에서 보안 이슈 해결을 위해 IoT에서 자동 처리하는 개인정보 보호 10대 수칙을 발표하였음
    • - 10대 수칙은 개인정보 처리 내용에 대한 정보주체의 이해, 사후적 대응보다는 사전예방, 개인정보처리자의 관행개선의 세 가지 항목을 배경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표되었음
    • - 10대 수칙은 기획, 설계, 점검의 대분류로 구분되며 각각의 내용은 개인정보 수집과 취급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어, 실질적인 보안 취약점 대책에는 거리가 있으며, IoT 디바이스 해킹 방지법으로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주의해야하는 사항을 제공하고 있음
    • - 현재 상용화된 IoT 디바이스의 보안 대책을 위한 솔루션들은 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정보를 은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계정을 탈취당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음
    모바일 자원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홈 IoT 디바이스 보안 기능 제공의 필요성
    • - 기존의 스마트홈 IoT의 보안 솔루션은 홈 게이트웨이 또는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어, 이를 적용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
    • - 스마트홈 IoT 디바이스들의 보안사고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함
    • -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많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디바이스가 필요하였음
    •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구글의 Tensorflow, 페이스북의 PyTorch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위한 경량 인공지능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모바일 자원을 활용하여 보안 기능을 제공 가능
    • - 기존의 서버에서 수행하는 스마트홈 IoT 디바이스의 사용자 패턴 분석 기능을 경량화하고 이를 모바일에 적용시켜 추가적인 디바이스 없이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
  • 연구내용

    기존 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용자 패턴 학습 및 침입 차단기능 고도화
    스마트홈 IoT 침입 탐지 인공지능 학습모델의 경량화를 위한 연구
    경량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허가되지 않은 접근 발생 시 자동적인 대응 프로세스 개발